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서울-중앙아시아 국제교류 및 광복 80주년을 기념한 특별공연 ‘열차 37호’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지난 8월 14일과 15일 서울 대학로극장 쿼드에서의 2회차 공연 전석 매진을 시작으로, 19일 카자흐스탄 알마티(카자흐스탄 국립 아카데미 고려극장), 21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한국문화예술의 집)까지 순회공연이 이어졌다. 약 200석 규모의 고려극장과 약 500석 규모의 한국문화예술의 집에서의 공연 역시 전석 매진 행렬을 이어갔으며, 주카자흐스탄 한국문화원, 카자흐스탄 국립 아카데미 고려극장,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주알마티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함께한 중앙아시아 3개국 순회공연이 성공적으로 긴 여정을 마쳤다.
이번 중앙아시아 순회공연은 서울문화재단의 국제교류 사업 및 한국 예술을 세계에 소개하고 글로벌 문화 교류 확대를 지원하는 ‘2025 투어링 케이-아츠’ 사업의 일환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의 후원을 받아 진행됐다. ‘열차 37호’는 음악과 노래를 중심으로 모든 장면이 전개됐으며,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생존과 기억, 사랑과 상실을 폭넓게 조명하고, 광복의 의미를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봤다.
특히 ‘공동 창작’으로 완성된 이번 공연은 한국과 중앙아시아 예술가들의 교류를 계기로 구상이 시작돼, 대본, 작곡, 번역, 연습을 거듭한 끝에 완성됐다. 공연에 참여한 예술가들은 한국 극작가들의 대본에 카자흐스탄 작곡가가 곡을 붙이고, 양국 배우들이 한 무대에서 호흡을 맞추는 방식으로 협업을 이어 나갔다.
서울 공연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앙아시아 2개국 무대에서도 한국어로 공연이 이어져 그 의미를 더했다. 현지 공연에서는 중앙아시아 관객의 편의를 고려해 카자흐스탄 공연에서는 카자흐어와 러시아어 자막을, 우즈베키스탄 공연에서는 우즈베크어와 러시아어 자막을 제공했다.
한편 알마티에 위치한 카자흐스탄 고려극장은 1932년 러시아 연해주에서 창단된 한민족 공연 단체이다. 1937년 고려인 강제 이주에 의해 카자흐스탄으로 장소를 옮겨와 현재까지 중앙아시아 내에서 한국의 전통문화와 역사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중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7년 카자흐스탄 정부에 의해 ‘국립 아카데미 고려극장’으로 승격됐으며,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이 관리인으로 일했던 역사적 공간이기도 하다.
이번 작품은 곳곳에 흩뿌려진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삶과 생존의 서사를 다뤘다. 공연 현장을 찾은 관객들은 우리의 한글과 문화를 잃지 않은 고려인들의 삶을 그려낸 이번 작품을 통해 고국인 대한민국과 더욱 가까워지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는 소감을 밝혔다. 광복 80주년 특별공연 ‘열차 37호’는 서울과 중앙아시아를 넘어 흩어진 역사의 기억을 이어 나갔다. 오랜 시간 동안 잊혔던 역사의 목소리들은 무대 위에서 노래가 돼 현장의 관객들에게 넓은 연결과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공연을 통해 만난 서울시민, 그리고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동포들은 뜨거운 박수갈채와 함께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역사를 다시 한번 마주할 수 있었다.
서울문화재단은 이번 순회공연 과정에서 카자흐스탄 국립 아카데미 고려극장과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우즈베키스탄 고려문화협회(회장 빅토르 박 하원의원)로부터 ‘우즈베키스탄 고려문화협회 훈장’을 수여하는 등 중앙아시아와의 문화교류 및 우호적 관계를 공고히 다졌다. 서울문화재단 송형종 대표이사는 “8월 9일부터 시작된 광복 주간의 의미를 되새기며, 그 대미를 장식한 특별공연 ‘열차 37호’를 통해 중앙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여러 도시와의 공동 창작·교류 사업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한국을 넘어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까지 이어진 순회공연의 성공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서울문화재단은 역사와도 연결되는 예술의 저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